노트

Window PostgreSQL 외부접속 본문

ㄱㅂ/PostgreSQL

Window PostgreSQL 외부접속

늅뎁 2025. 6. 30. 12:59
반응형

1. PostgreSQL 설정 파일 수정

PostgreSQL이 외부에서 접속을 허용하도록 설정하려면 먼저 PostgreSQL의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PostgreSQL의 설정 파일은 기본적으로 설치 디렉토리의 data 폴더에 있습니다. postgresql.conf 파일을 열고, listen_addresses 항목을 찾아 수정합니다. 기본값은 'localhost'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로 변경하여 모든 IP에서의 접속을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listen_addresses = '*'

수정 후 파일을 저장하고 PostgreSQL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2. pg_hba.conf 파일 수정

외부 접속을 허용하려면 pg_hba.conf 파일도 수정해야 합니다. 이 파일은 PostgreSQL의 인증 방식을 설정하는 파일로, data 폴더에 위치합니다. 파일을 열고, 외부 IP 대역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는 규칙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IP 대역에서 접속을 허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host    all    all    0.0.0.0/0    scram-sha-256

위 설정은 모든 IP 대역에서 모든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에 대해 SCRAM-SHA-256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접속을 허용합니다. 보안을 위해 필요한 IP 대역만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Windows 방화벽 설정

PostgreSQL이 사용하는 기본 포트(5432)가 Windows 방화벽에서 차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허용하려면 Windows 방화벽 설정을 열고, 인바운드 규칙에서 새 규칙을 추가합니다. 규칙 유형은 포트를 선택하고, TCP 프로토콜의 5432 포트를 허용합니다. 그런 다음, 연결 허용을 선택하고 규칙에 적절한 이름을 지정하여 저장합니다. 이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PostgreSQL 포트로의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4. 외부 접속 테스트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외부에서 PostgreSQL에 접속할 수 있는지 테스트합니다.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PostgreSQL 클라이언트 도구(예: psql)를 사용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시도합니다. 예를 들어, psql을 사용하여 접속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psql -h [서버 IP 주소] -U [사용자 이름] -d [데이터베이스 이름]

접속이 성공하면 설정이 제대로 완료된 것입니다. 만약 접속이 실패한다면, 방화벽 설정, PostgreSQL 설정 파일, 또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