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행은 이미
- merge
- 날짜 변환
- 버림
- 문자열 찾기
- indeof
- DataTable Copy
- 소수점
- 대량 insert
- contains
- DataTable
- datatable 행 제거
- DataTable Merge
- cursor
- 올림
- MS-SQL
- 데이터테이블
- Column
- mssql
- datatable 컬럼 제거
- group by
- Bucket
- 데이터테이블 합치기
- 다른 테이블에 속해있습니다
- C#
- Elasticsearch
- 날짜 변환 형식
- lastIndexOf
- PostgreSQL
- 소수점 자르기
노트
Window PostgreSQL 외부접속 본문
1. PostgreSQL 설정 파일 수정
PostgreSQL이 외부에서 접속을 허용하도록 설정하려면 먼저 PostgreSQL의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PostgreSQL의 설정 파일은 기본적으로 설치 디렉토리의 data
폴더에 있습니다. postgresql.conf
파일을 열고, listen_addresses
항목을 찾아 수정합니다. 기본값은 'localhost'
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
로 변경하여 모든 IP에서의 접속을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listen_addresses = '*'
수정 후 파일을 저장하고 PostgreSQL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2. pg_hba.conf 파일 수정
외부 접속을 허용하려면 pg_hba.conf
파일도 수정해야 합니다. 이 파일은 PostgreSQL의 인증 방식을 설정하는 파일로, data
폴더에 위치합니다. 파일을 열고, 외부 IP 대역에 대해 접속을 허용하는 규칙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IP 대역에서 접속을 허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host all all 0.0.0.0/0 scram-sha-256
위 설정은 모든 IP 대역에서 모든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에 대해 SCRAM-SHA-256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접속을 허용합니다. 보안을 위해 필요한 IP 대역만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Windows 방화벽 설정
PostgreSQL이 사용하는 기본 포트(5432)가 Windows 방화벽에서 차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허용하려면 Windows 방화벽 설정을 열고, 인바운드 규칙에서 새 규칙을 추가합니다. 규칙 유형은 포트
를 선택하고, TCP 프로토콜의 5432 포트를 허용합니다. 그런 다음, 연결 허용을 선택하고 규칙에 적절한 이름을 지정하여 저장합니다. 이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 PostgreSQL 포트로의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4. 외부 접속 테스트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외부에서 PostgreSQL에 접속할 수 있는지 테스트합니다.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PostgreSQL 클라이언트 도구(예: psql
)를 사용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시도합니다. 예를 들어, psql
을 사용하여 접속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psql -h [서버 IP 주소] -U [사용자 이름] -d [데이터베이스 이름]
접속이 성공하면 설정이 제대로 완료된 것입니다. 만약 접속이 실패한다면, 방화벽 설정, PostgreSQL 설정 파일, 또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